깨어있는 달팽이

(펌)우리는 과연 끝까지 살아남을 수 있을까요?"

거울닦는 달팽이 2009. 9. 20. 10:55
반응형


[문화, 우주를 만나다] 어느 숲 운동가의 별 이야기



▲ 지난 7월 22일에 있었던 개기일식을 중국 상하이 인근 지역에서 촬영한 것 상하이의 상징인 동방명주 주변 야경을 어안렌즈로 촬영해 개기일식의 과정을 삽입하였다. 동방명주(사진 중앙 탑)는 황푸강 주위의 루지아주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총높이가 468미터로 아시아에선 첫 번째로, 세계에서 세 번째로 높은 송신탑이다. 이 사진에서 개기일식은 시간 순서가 아래에서 위로 정렬돼 있다. ⓒ프레시안

글을 의뢰받고 한참을 고민하다, 집사람이 2006년 6월에 담근 포도주를 개봉해서 주석 잔에 담아서 밖에 나가 하늘을 바라보다 문득 떠오른 이야기가 있어 펜을 들었습니다(노트북을 켰습니다).

밤하늘에는 단 하나의 별도 발견할 수 없었습니다. 서울에서 맑은 하늘을 바로 볼 수 있는 날이 365일 중에 10일 정도 밖에 안 된다고 하지요. 요즘 도시에 사는 사람들의 별 이야기는 어쩌면 별을 볼 수 없다는 것인지도 모르겠습니다.

참으로 눈물 나는 이야기입니다. 어렸을 적 내가 살던 곳은, 작은 소도시였지만 항상 앞마당에 나가면 별을 바라볼 수 있었습니다. 바닷가 외갓집에 가면 소피를 보러가다가 검은 하늘에서 쏟아지던 별을 본 기억이 있습니다.

아니 더 슬픈 이야기는 사실 다른 곳에 있습니다. 성장하면서 직장을 갖고 온갖 풍상을 거치고 살면서 별을 보려는 생각조차 잊어버렸나 봅니다. 아침에 출근해서 봄이 오고 있건만 길가에 나무들에서 터져 나오는 겨울눈을 느낄 새도 없었습니다. 저녁이면 베란다에 서있어도 밤하늘에 별을 찾아보려는 생각조차 하지 않고 살아가고 있지요.

별을 보지 못한다는 것, 별을 보려고 생각조차 하지 않는다는 것, 도시의 대기가 오염되었고 우리의 삶의 병들어 있다는 것의 결과는 참혹합니다. 지나친 비약이라고 할지 모르겠지만 사실 이것들은 기후 변화, 지구 온난화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한 때 지구는 생물이 살 수 없는 우주의 수많은 별들 중 하나였습니다. 대기 중에도 이산화탄소가 가득 차 있었습니다. 우연과 필연의 계기로 물이 생겨나고, 그 물에 생물이 잉태하고, 그 생물이 이산화탄소를 흡수해서 저장하고, 수많은 식물과 동물이 지각변동으로 지하에 갇혀 석탄과 석유로 변하면서 지구는 인간이 살기에 딱 좋은 별이 되었습니다.

그러나 우리 인간들은 지하에 숨겨진 시커먼 석탄과 석유가 엄청난 보물임을 발견하고 어마어마한 산업을 일으켰습니다. 그 결과 한나절이면 유럽과 미국을 갈 수 있고, 추위와 더위에 고통 받지 않아도 되었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편리함을 얻은 대신, 지구별이 만들어낸 환경을 파괴하고 다시 인간이 살 수 없는 땅으로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19세기 산업혁명이 일어나면서 대기 중에 이산화탄소는 250년 동안 280피피엠(ppm)에서 350피피엠까지 증가하였습니다. 지구의 평균온도는 지난 100년 동안 0.8도가 오르고, 서울의 평균온도는 3도가 올랐다고 합니다. 놀랍게도 수십, 수백 만 년 만에 돌아오는 빙하기와 간빙기의 평균온도 차이가 불과 6도라고 합니다. 오늘날 인간이 만들어낸 기후 변화가 얼마나 큰 재앙으로 닥쳐올지 아무도 예측할 수 없습니다.

별을 볼 수 있을까요? 우리 아이들은…. 찬란한 문명과 과학을 발전시켜온 인류는 과연 생존할 수 있을까요?

비관적인 기후 변화 학자들은 이제 우리에게 반전의 기회는 짧게는 20년, 길게는 50년 정도 남았다고 합니다. 지구의 평균온도가 산업혁명 시점을 기준으로 해서 2도 더 오른다면 인류의 과학 문명으로도 통제할 수 없는 수준으로 변할 것으로 예견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폴란드에서 개최된 세계기후변화회의(UNFCCC)에서는 한 목소리로 "Below 2℃"를 주장하였습니다. 그러나 분명하게 방향 전환을 하지는 못하였습니다. 미국의 오바마 대통령도, 한국의 이명박 대통령도 녹색 성장을 이야기하고 있지만, 여전히 세계는 대량 소비를 멈추지 않으며, 이산화탄소 배출도 줄어들지 않고 있습니다.

그렇게 많은 시간이 남지 않았다는 데도요.

몽골의 사막에 간 적이 있습니다. 사막의 밤하늘에서 쏟아지는 별빛은 형연할 수 없는 감동을 주었습니다. 바다의 별밤보다도 더욱 아름다운 장관이었습니다. 그러나 한편 그 사막이 확장되고 있습니다. 칭기즈칸이 살던 시대에는 1헥타르의 초지에 1마리의 소만 키웠지만, 이제는 3마리 이상의 소를 키우고 있다고 합니다. 옛 선조들은 풀이 자라는 시간을 배려하여 1마리의 소를 방목하였습니다. 그러나 이제는 3마리의 소를 키우게 되자 초지는 사막으로 변해버립니다. 초지가 가지고 있는 용량을 초과해서 소를 키우는 것, 그 것이 오늘날 우리의 모습입니다.

우리가 도시의 밤하늘에서 별을 사라지게 한 것처럼, 숲이 우리 곁에서 사라져가고 있습니다. 산업혁명의 시작이었던 영국은 한 때 국토의 60퍼센트 이상이 숲이었다고 합니다. 그러나 산업혁명이 끝나고 나니, 불과 4퍼센트의 숲만 남았습니다. 세계 4대 종교가 출발한 인도도 문명이 시작되기 전에는 70퍼센트에 달하던 숲이 이제는 네팔과 인접한 히말라야 산맥 주변에만 조금 남아있습니다. 동양진주라고 불리었던 필리핀의 숲은 90퍼센트에서 100년도 채 지나지 않아 18퍼센트만 남았습니다. 매 분마다 지구상에서 운동장만한 숲이 사라지고 있습니다. 그 만큼 우리는 밤하늘의 별을 볼 기회를 잃어가고 있으며, 별을 찾는 낭만도 함께 상실하고 있습니다.

어찌해야 할까요? 이제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다고 하는데….

정말 우리 지금 이렇게 살아도 될까요? 이처럼 별을 잊고, 자연을 잊고 오로지 편리만 쫓아 살아도 될까요? 부끄럽지 않을까요? 죽기 전에 모든 사실을 알고 난 후에….

영국 런던시의 홈페이지에 가시면 런던 시민의 기후행동계획(Climate Action Plan)이 있습니다. 그 곳에 이런 말이 남겨져 있습니다. "인류는 그 동안 모든 세대가 한 가지 이상의 문제와 도전을 받아왔으며, 항상 극복해왔다. 그리고 우리 세대는 기후 변화 대응이라는 새로운 도전을 받고 있으며, 우리는 인류가 해왔던 것처럼 또 다시 승리할 것이다." 부디 이 말씀이 틀리지 않을 것을 믿으며 저는 숲 운동, 환경운동을 하고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은 아직도 우리가 과학 문명을 통해 기후 변화 문제를 극복할 수 있다고 믿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기술이 원자력, 카본 캡처(Carbon Capture Storage), 수소연료전지 등입니다. 그러나 이들 기술이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는 없습니다. 원자력은 아직 우리가 폐기를 완료해본적도 없으며, 이미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 사고 같은 대형 참사를 경험했습니다. 대기 중 혹은 석탄 화력 발전소에서 내오는 이산화탄소를 고정하여 바다 속이나 탄광갱도에 묻어두는 기술인 카본 캡처 기술은 언제 터질지 모르는 화산과도 같은 존재가 될 것입니다. 수소 에너지를 사용하는 것 역시 수소 에너지를 생산, 유통하는 과정에서 생산된 에너지의 3분의 1 정도를 소모해야 하고, 우리 집 주변에 TNT를 두고 있는 것과 같습니다.

미국의 공동체운동 전문가인 팻 머피(Pat Murphy)는 <플랜 시(Plan C)>라는 책에서 화석에너지에 의존하고 있는 우리 세대가 우리의 아들딸들에게 써야하는 유서를 다음과 같이 표현하고 있습니다.

"수십 년 후 내가 죽는 날, 나는 사랑하는 두 딸에게 '내 생애를 마치고 간다. 딸들아…. 너에게 내 평생 쓰고 간 1000톤의 이산화탄소와 약간의 핵폐기물을 남기고 가니, 조심히 잘 다루거라'라는 유언을 남겨야 할 것 같다."

근본적인 문제는 우리가 3억 년 전 석탄기에 태양이 422년 동안 보내준 빛에너지가 전환된 석탄과 석유를 단 1년 동안 소비하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100년의 생애 주기를 가진 인간이라는 종이 3억 년의 탄소 순환을 움직이고 있습니다.

우리는 좀 더 다른 방식으로 살아야 하지 않을까요? 불과 50년 전만 하더라도 우리는 식량을 얻기 위해 한 방울의 석유도 필요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오늘날 1칼로리의 음식을 섭취하는데 자그마치 10칼로리의 석유를 쓰고 있습니다. 인류가 만들어온 찬란한 문명이 인류의 욕심에 의해 순식간에 사라질 위기에 놓여있습니다. 이를 극복하는 것도, 인류의 문명이고 문화일 것이라 믿습니다.

지구별에는 쿠바와 같은 사회도 있습니다. 구소련이 해체되어 원조가 끊기고 미국의 봉쇄에도 불구하고 수년 만에 유기농업에 기초한 자급자족 사회를 만들었습니다. 사실 우리에게 닥친 현실은 20여 년 전 쿠바와 맞이한 상황과 유사합니다.

10~20년 내에 석유생산정점(Peak Oil)이 도달해 이미 우리 세대에 석유가 부족한 상황을 맞이하게 될 것입니다. 2060년 즈음에는 지구 전체 에너지 소비가 공급을 앞지를 것으로 예측되고 있습니다. 지금 유치원생들이 50대 쯤 되는 시기입니다. 자원 부족은 곧 취약한 국가를 상대로 호전적인 국가들이 전쟁을 일으키게 될 것이고, 안전하지 못한 원자력은 핵전쟁의 빌미가 될 수 있습니다.

수많은 저 별들 중에서 인류와 같은 생물이 사는 곳이 또 있을지 우리는 아무도 예측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지구별에 존재하는 우리 인류가 해야 할 일은 분명합니다. 지구의 에너지순환, 탄소순환에 순응하고 지속가능한 사회를 이룩할 수 있는 문명을 새롭게 만들어가야 합니다.

지구별에서 사랑하는 아들딸들이 전쟁과 가난으로 사랑하는 사람을 잃지 않는 세상이었으면 좋겠습니다.
 
출처:http://pressian.com/article/article.asp?article_num=60090803233406&Section=0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