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에 새기는 멧세지

법륜스님-사로잡힘을 알고 놓아버리는 것이 수행

거울닦는 달팽이 2010. 3. 27. 14:07
반응형

직장에 한없이 미운 사람이 있습니다. 법문을 들으면서 나름대로 노력을 해 봤는데 미운 마음이 없어지지 않습니다.



‘미움’이라는 것은 자기 생각이 옳다하는 데서 생깁니다. 내 생각대로 되지 않으니까 상대를 미워하는 것이지요. 그런데 사람의 생각은 서로 다릅니다.

저럴 수도 있겠다. 저 사람은 저렇게 하는구나.’ 이렇게 이해하면 마음속에 미움이 생기지 않습니다. 마음속에 미움이 생긴다는 것은 이미 내 생각에 사로잡혀서 상대의 입장이나 관점을 이해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내 생각에 사로잡혀서 ‘어떻게 저럴 수가 있나? 어떻게 저런 말을, 어떻게 저런 행동을 할 수 있나?’ 하고 생각하면 내 마음속에는 상대에 대한 미움이 생깁니다. 그러므로 그런 미움이 생겼다는 것 자체는 이미 내가 내 생각에 사로잡혔다는 것입니다.

내 생각에 사로잡힌 상태에서 내 기분대로 미워하고, 원망하고, 욕하는 것은 범부 중생입니다. 그러면 상대도 욕하고, 미워하고, 원망을 하겠죠. 그래서 싸우게 됩니다. 이런 경우에 분노를 터뜨리지 않고 참는 사람도 있습니다. 참으면 미움이 확대되지는 않습니다. 그런데 그렇다고 해결이 되느냐? 그건 아닙니다. 이미 미움이 일어난 것을 바깥으로 드러내느냐, 억누르느냐 하는 차이지요. 미움이 일어났다는 것은 수행이 아닙니다.

그러면 어디서부터 수행이라고 할 수 있을까요? 용서해 주는 것일까요? 이럴 때 세속에서 볼 때는 훌륭한 인격입니다. 참는 것은 훌륭한 인격이죠. 그러나 거기에 수행이라는 말을 붙이면 안돼요. 그러니까 질문하신 분은 수행을 하는 게 아니고 참다가 터뜨렸다가, 참다가 터뜨렸다가 세속적인 반응을 하는 거예요. 터뜨릴 때는 성질이 나쁘다는 비난을 받을 것이고, 참을 때는 사람이 착하다는 소리를 듣겠죠. 그러나 이것이 수행은 아닙니다. 이것은 자기 생각에 사로잡힌 상태, 즉 꿈속에 있는 것이에요.

그 사로잡힌 상태를 사로잡힌 줄 알고 놓아 버릴 때부터 ‘수행’이라 합니다. 그러니까 ‘용서하느냐’, ‘참느냐’ 하는 것을 수행의 과제로 삼으면 안돼요. 참는 것을 과제로 삼는 한은 수행을 하는 것이 아니라 세속의 길에 있는 것이에요.

상대를 이해하는 것에서 수행이 시작된다는 말은 상대가 옳다는 뜻은 아닙니다. 그 사람의 관점에서는 그렇게 볼 수도 있다는 것이죠. 내 것을 고집하지 말라는 이야기지 내 생각이 틀렸다는 것이 아닙니다.

이렇게 관점을 잡아서 공부해야 해탈의 의미를 이해하고 경험하게 됩니다. 그렇지 않으면 참다가 터졌다가, 참다가 터졌다가 하면서 한 생을 사는 거예요. 참는 공부보다 놓아 버리는 공부를 해야 합니다. 놓아지지 않을 때 일시적으로 참는 공부를 하는 거지, 참는 게 공부의 목적이 되면 안 됩니다.

미워함이 없는 공부를 해야 합니다. 미워함이 없는 것은 서로 생각이 다르다는 것을 이해하고 인정하는 것입니다. 물론 잘 안 됩니다. 잘 안 되는 게 당연합니다. 그러니까 더욱 열심히 공부를 해 나가야 합니다. 그렇게 될 때까지 쉼 없이 하는 것이 정진입니다.


반응형

'마음에 새기는 멧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더없는 행복  (0) 2010.04.06
나에 대한 확신이 없으면...  (0) 2010.04.06
법륜스님 법문 89 : 삼귀의  (0) 2010.03.09
17세기 어느 수녀의 기도  (0) 2010.03.01
[스크랩] <펌> 멋진 인생  (0) 2010.0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