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정한 문제는 감정을 통제하는데 있는 것이 아니라, 어떻게 감정을 표현할 것인가를 선택하는 데 있다.”
-프레스코트 레키의 <자기의 일관성 Self Consistency> 중에서-
------------------------------
인간이 고도의 사회적 존재가 될 수 있었던 것은 본능과 감정대로 행동하지 않고 이를 조절할 수 있는 생물학적 장치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 부위는 바로 이마 뒤편의 전전두엽이며 이 부위가 본능과 감정을 조절하는 브레이크 역할을 담당합니다. 흔히 감정조절의 어려움을 보이는 사람들의 뇌를 보면 부정적 감정을 관장하는 뇌의 편도체가 지나치게 활성화 되어 있습니다. 그렇기에 무언가 자극을 받거나 위협을 느끼게 되면 곧바로 편도체에 빨간 불이 켜지고 이성은 마비되어 ‘3F 상태(투쟁-도피-부동 Fight-Flight-Freeze)'로 바뀝니다. 도망치거나 싸우거나 혹은 얼어붙어 버리는 것입니다. 이때는 감정을 조절하는 뇌의 전전두엽과의 통로가 차단되어 이성적 사고나 판단이 개입되기 어려워 감정대로 행동하게 됩니다.
이때 변연계와 전전두엽과의 통로를 빠르게 회복하여 감정조절에 도움이 되는 방법이 있습니다. '감정 이름붙이기 Affect Labeling'이라는 기법입니다. 아주 쉽습니다. 자신이 느끼는 감정에 말로 꼬리표를 다는 것입니다. 어떤 감정이라 하더라도 부정하지 말고 알아차리고 인정해주는 것입니다. ‘나는 지금 화가 났어.’ ‘나는 지금 공포스러워.’라고 말이지요. 좀 더 여유가 있는 상태라면 ‘심장 박동이 빨라지고 얼굴 근육이 굳어지고 있는게 느껴져. 지금 나는 불안해.’라며 신체감각과 함께 감정에 이름을 붙여주면 더욱 좋습니다. 이게 과연 도움이 될 수 있을 지 의문이 든다고요? 신경과학자 매튜 리버먼은 이렇게 감정에 이름을 붙이게 되는 순간 감정조절의 브레이크 페달 역할을 하는 전전두엽 피질이 빠르게 활성화가 된다는 것을 뇌영상 촬영을 통해 입증해보였습니다.
본능적 충동은 충족이 되어야 해소가 됩니다. 배가 고프면 먹어야 하고 졸리면 자야 합니다. 하지만 감정은 본능과 달라서 꼭 충족이 되어야만 해소되는 것은 아닙니다. 별로 강하지 않다면 저절로 없어지기도 하고, 강한 감정이라도 그 감정을 누군가 잘 알아주기만 해도 진정이 되고 사라질 수 있습니다. 만일 화가 나서 밥을 안 먹는 아이가 있다면 ‘밥 먹기 싫을 정도로 화가 많이 났구나!’라는 말만으로도 아이는 화가 많이 풀려 대화를 할 수있게 됩니다. 꼭 다른 사람이 아니라도 스스로 자신의 감정을 알아주는 ‘감정 라벨링’의 방법 또한 마찬가지입니다. 전전두엽을 짧은 시간에 활성화시켜 이성적으로 감정을 표현할 상태로 여러분을 만들어줄 것입니다.
감정조절이 어려울 때면 스스로 감정에 이름을 붙여 보세요. 우리는 그 감정을 더 잘 볼 수 있고, 더 잘 다룰 수 있고, 더 잘 받아줄 수 있게 되어 우리 안에 머무르지 않고 잘 지나가도록 할 수 있습니다.
'마음에 새기는 멧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 살아온 세월은 아름다웠다고 (0) | 2013.11.22 |
---|---|
국가보안법에 처형된 예수님 (0) | 2013.11.22 |
감정조절의 단계 - 문요한 (0) | 2013.11.07 |
위빠사나 (통찰명상)에 관한 다큐 (0) | 2013.10.25 |
법륜스님- 인간 관계 (0) | 2013.10.19 |